금투자하는 5가지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의 주제는 금테크 입니다.
연초부터 이란과 미국이 미사일을 주고 받으며
다시 중동 전쟁이라도 시작할까 하더니
금값이 또 급등하였습니다.
이렇게 금은 전쟁이나 금융위기 등
사건이 발생을 하면 가치가 올라가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금으로 경제위기를 준비할려고 합니다.
오늘은 금테크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여러가지 방법 중에서 본인이 괜찮다고 생각하는 방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1. 신한은행 금통장 개설
2. 신한은행 골드바 매입
3. 한국거래소(KRX금시장)를 통한 금 시장 매매
4. 금 펀드 투자
5. 금 ETF, ETN을 매매
이상 5가지 투자를 정리 후 하나씩 설명하겠습니다.
첫번째 방법은 신한은행의 "골드실버" 라는 상품이 있습니다.
특징은 금 뿐만 아니라 은도 매매할 수 있는 통장입니다.
신한실버리슈실버테크
신한골드리슈골드테크
U드림 GOLD모어 통장
신한골드리슈금적립 등이 있습니다.
대표 상품은 신한골드리슈골드테크를 살펴보면
1. 매매 단위가 0.01g부터 가능하며
1. 신한은행에서 고시된 가격으로 매매.
물론 단기 매매 차익을 막기 위해서 매입, 매도 수수료가 다릅니다.
수수료를 포함한 매입시 1g당 58,541원(2020.1.10기준)
매도시에는 57,924원으로 단기매매는 손실을 볼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2. 영업시간 중에서만 매매가 가능하며 온라인은 19시까지 가능합니다.
3. 수수료는 영업점에서는 1%, 온라인에서는 0.7% 입니다.
만약에 금을 매수하고 매도하면 두번의 수수료가 발생 1.4%가 됩니다. (온라인)
4. 15.4% 의 세금을 부가하고
5. 금 가격 뿐 아니라 달러 환노출 상품입니다.
6. 예약 매매 서비스로 목표가격에 도달시
자동으로 주문되어 팔리는 주문방식도 있고
반복 매매 서비스라는 주기적으로 일정량을 매입하고 매도하는 방식입니다.
두번째 골드바를 실물로 매입하는 방식입니다.
대중적으로 쉽게 매입할 수 있는 곳이 신한은행인지라
신한은행 골드바를 설명 드리겠습니다.
물론 신한은행 말고도 한국금거래소 사이트나
가까운 거래소를 이용해서 매매를 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 사이트 : http://www.koreagoldx.co.kr/index.asp)
1. 골드바는 1kg, 100g, 10g 단위로 매매할 수 있고
2. 신한은행에서 고시된 가격으로 매매를 할 수 있지만.
수수료를 포함한 매입 가격은 1g 당 67,666(2020.1.10기준)
매도 가격은 54,911원으로 역시 단기 매매는 손실을 봅니다.
3. 골드바라할지라도 굳이 영업점 뿐 아니라 온라인으로도 가능합니다.
4. 수수료는 매입시 5%, 매도시 5%로 상당히 비싸며
또한 실물로 골드바를 수령시에는 부가세 10%를 내야 합니다.
참고로 구매후 서울은 1주일,
그외 지역은 1~2주일 정도 지나야 실물을 받을 수 있습니다.
5. 비과세라고는 하지만 무기명이 아니며
골드바를 매입시 국세청에 통보하게 됩니다.
6. 골드바는 보관이 불편하며 보증서 취급에 주의를 하셔야 하며
수수료가 비싸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추천 드리지 않습니다.
세번째는 한국 거래소 금시장에서 매매를 하면 됩니다.
우리가 주식시장에서 주식을 사고 파는 것처럼
한국 거래소 금시장을 통해서 매매를 할 수 있습니다.
http://open.krx.co.kr/contents/OPN/01/01050201/OPN01050201.jsp
1. 가격은 한국 거래소 금시장 고시 가격을 통해 매매하며
2. 거래는 증권사를 매매를 하지만
금 실물은 한국에탹결제원에서 보관을 합니다.
금 실물을 보관하는 건 아닙니다.
3. 국제 금 가격으로 실시간 거래가 가능하며
4. 가장 큰 장점은 양도소득세 / 부가가치세가
면세가 되는 장점이 있으며 약 0.3%이내 증권사 수수료만 내면 됩니다.
다만 금 실물을 인출시에는 1개당 2만원의 수수료오
부가가치세 10%를 내야 합니다.
5. 국제 금 시세에 연동이 되며 환노출 상품입니다.
네번째는 금펀드를 적립하는 방법입니다만,
단점은 실물 금을 투자하는 경우가 많지 않습니다.
대부분 금과 관련된 기업에 투자를 한다던가
금을 포함한 오일, 구리 등 광물 등에 투자하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블랙록 자산의 광물 펀드가 있습니다.
그래서 금펀드는 추천 드리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는 금ETF, ETN을 추천드립니다.
1. 주식처럼 단일 종목을 매매하는 방식이며
2. 금ETF는 증권사에서 HTS를 개설하신 후
실제 주식을 매매하시는 것처럼 하시면 됩니다.
3. ETF에 투자하므로 수수료가 저렴한 장점이 있으며
KODEX 삼성 기준 0.68%
4. 배당소득세 15.4%를 납부하게 됩니다.
5. ETF는 100%는 아니지만 일부 환헷지가 된 상품입니다.
수수료나 매매 방식은 편하지만 금 실물을 보유하지 않으며
실시간 수익률을 보기 때문에
손실시에는 더 이상 금 투자를 하지 않거나
작은 수익에도 팔아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가 추천을 드리고 싶은 방법은
두가지 케이스를 두고 추천을 드리고 싶습니다.
만약에 본인이 금을 통한 재태크를 원한다면
HTS를 개설하신 후 금ETF를 모으는 것이 좋습니다.
국내 상품도 가능하며 해외금 ETF도 가능합니다.
물론 KRX금시장을 통해새 매매 방법도 좋습니다.
그러나 만약 금융위기, 국가위기를 대비한다면
금융시장 자체가 정상적인 기능(자산의 입출금)을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실물 금을 갖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위에서 보신 것처럼 골드바는
보증서 보관이나 수수료가 비싸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하기에는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결국에는 KRX금시장이나 금ETF가 좋을 것 같습니다.